요약
검사의 목적
1) 임상적 의의
- 당뇨 및 당뇨병전기를 선별하고 진단하기 위하여
- 환자의 당뇨를 모니터하고 치료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주기 위함
2) 참고치: ≤ 5.6%
3) 해석
- ≤ 5.6%: 참고치 이내
- 5.7-6.4%: 당뇨 전단계
- ≥6.5%: 당뇨
검사가 필요한 경우
최초로 당뇨로 진단받았을 때 그리고 일년에 2-4회 검사; 건강검진의 일부로서 또는 당뇨의 증상이 있을 경우
분석대상 검체
정맥혈액 또는 손가락 끝에서 채취한 모세혈
검사의 목적
어떤 검사입니까?
당화혈색소 검사는 지난 2-3 개월 동안의 혈중 포도당의 평균치를 평가하며 당화된 A1c형 혈색소의 농도를 측정해서 검사합니다. 혈색소는 적혈구 내부에서 관찰되는 산소운반 단백질입니다. 몇 가지 정상 및 변이형 혈색소가 알려져 있지만 95-98%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형태는 A형 혈색소입니다. A형 혈색소는 몇 가지로 더 세분할 수 있고 이중에 A1c 혈색소가 있습니다. 포도당이 혈중을 순환하면 이 중 일부는 자연적으로 A형 혈색소에 결합합니다. 포도당과 혈색소가 결합한 분자를 당화되었다고 합니다.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당화 혈색소가 생성됩니다. 일단 포도당이 혈색소에 결합하면 정상적으로 120일인 적혈구의 수명을 다할 때까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합니다. 포도당과 A형 혈색소가 결합한 조합을 HbA1c 혹은 A1c라고 합니다. A1c는 매일 생산되며 수명을 다한 적혈구가 사멸하고 젊은(당화되지 않은 혈색소를 가진) 적혈구가 이를 대신함에 따라 천천히 제거됩니다.
이 검사는 당뇨로 진단받은 사람에서 당뇨 치료효과를 모니터하기 위해 이용됩니다. 이 검사는 치료에 의해 환자의 포도당 농도가 일정 시간 동안 얼마나 잘 조절되었는지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어떤 사람에서는 이 검사를 당뇨와 당뇨병전기를 선별하고 진단하는 목적으로 이용하기도 합니다. 2010년에 발간된 미국당뇨병학회의 새로운 임상진료지침에 따르면 당화혈색소검사를 당뇨 선별 및 진단 검사 종목 중 하나로 공복혈당검사 및 경구당부하검사에 추가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모니터링 목적으로 당화혈색소를 보고하는 방식은 현재 잠정적으로 결정된 상태입니다. 전통적으로 미국에서는 당화혈색소를 백분율로 보고해 왔고, 미국당뇨병학회는 당뇨병 환자는 당화혈색소 수치를 7% 미만으로 유지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권고해 왔습니다. 하지만, 2012년 미국당뇨병학회와 유럽당뇨연구회는 2형 당뇨의 조절이 보다 “환자 중심적”일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이는 최근 연구에서 저혈당으로 인하여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고, 심각한 저혈당의 위험성이 있거나, 기저질환 또는 합병증 위험성이 있는 경우 및 기대여명이 제한적인 경우에서는 7% 미만의 엄격한 조절로 인한 효과가 제한적이란 자료에 근거합니다. 따라서, 당뇨환자는 주치의와의 상담을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에 맞는 적절한 당뇨 조절 목표를 설정하여야 합니다.
공동 선언문과 혈당농도와 당화혈색소의 연관성을 심도 있게 연구한 ADAG (당화혈색소 유래 평균 포도당) 연구의 최근 완료 이후 당화혈색소가 세계적으로 세가지 방식으로 보고되도록 하는 권고안이 제시되었습니다:
- 백분율[미국당화헤모글린 표준화 프로그램(NGSP)에서 제안한 단위]
- IFCC 단위(mmol/mol)
- 연구 결과 유도된 식에 근거한 추산평균포도당(eAG) (단위는 mg/dL 또는 mmol/L)
즉 미국의 당뇨병 환자와 의사의 입장에서 볼 때 이 지침은 한 사람의 당화혈색소 농도를 익숙한 백분율과 추산평균포도당의 두 가지 방식으로 표기하게 됨을 의미하며 추산평균포도당은 가정용 포도당 모니터와 검사실의 결과와 같은 단위(mg/dL)의 수치로 보고함을 의미합니다.
검체 채취 과정은 어떻게 됩니까?
팔의 정맥에서 채혈하거나 손가락 끝을 작고 뾰족한 침으로 찔러 피 한방울을 떨어트려 모세혈 검체를 얻습니다.
검사의 해석
<출처>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www.labtestsonline.kr/
'IVD > 항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pophosphatasia> 의료 지식 (0) | 2017.09.18 |
---|---|
간 기능에 대해 (0) | 2017.09.18 |
<임상 미생물 기초 지식> (0) | 2017.09.11 |
<혈액의 구성> 의학 지식 (0) | 2017.09.11 |
잠재성 폐결핵 (tuberculosis) <의학 지식> (0) | 2017.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