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gE
면역글로불린 E(immunoglobulin E)의 약칭이며, 면역글로불린 클래스의 하나이기도 하다. 2개인 Hε사슬과 2개인 L사슬로 구성되며, 분지량이 19만인 당사슬(10~12%)를 포함한 단백질이다. 사람 혈청내 농도가 0.2μg/mL이하인 알레르기이며, 기생충감염환자에는 높은 값을 나타낸다. 항체활성이 갖춘 래아긴(reagin)이라고도 한다.
Hε사슬의 C말단측영역(CH3-CH4)에서 호염기구(好鹽基球), 비만세포 및 호산구상 수용체 Fcε수용체와 결합하여 항원(allergen)의 결합 · 자극에 의해 과립구가 생겨, 히스타민(histamine), 세로토닌(serotonin), 단백질가수분해효소(protease), 시토카인(cytokine), 케모카아인(chemokine)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물질을 유리하여, I형일레르기반응을 야기한다. IgE생산에는 인터루킨4가 관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IgE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도서출판 여초)
반응형